본문 바로가기
클래식 감상실/명곡 명연주가

고세크의 가보트

by 음악무침 2025. 1. 25.
반응형

 

오늘은 아주 익숙하고 사랑스러운 춤곡

고세크의 가보트를 감상해 보겠습니다

 

 


프랑수아조제프 고세크 François-Joseph Gossec, 1734~1829

고전 시대 프랑스와 벨기에의 작곡가, 바이올리니스트, 오페라 감독, 교육자입니다
40여곡의 교향곡과 20여편 오페라, 발레곡, 종교음악등을 작곡했습니다

‘콩세르 데자마퇴르’, ‘콩세르 스피리튀엘’, 왕실가곡학교, 파리음악원을 창립했습니다

 

 


가보트 Gavotte

고세크의 대표곡으로 바이올린 독주용 소품으로 작곡되었습니다

가보트는 17세기 프랑스 대표적 춤곡을 말합니다
프랑스 남동부 도피네 지방 토착민을 가리키는 '가보트'(Gavots)란 말에서 유래되었습니다

 


2박자나 4박자로된 춤곡으로 빠르기의 다름으로 쾌활한 분위기나 부드러운 분위기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오페라에서 간주곡이나 발레 장면 등에서도 사용되었습니다

 

18세기에 이르면 기악 모음곡에서 기악 형식으로 사용되며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영국 모음곡>, 조반니 비탈리 <실내 소나타 Sonate da camera, Op. 14>(1692), 마랭 마레의 <비올 모음곡 Pièces de violes>(1711) 등에 사용되었습니다

 

 


안토니오 살리에리의 <트로포니오의 동굴 La grotta di Trofonio>(1785), 크로스토프 글루크의 <올리드의 이피제니 Iphigénie en Aulide>(1774),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이도메네오>등 18세기 오페라에서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20세기에 와서는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아널드 쇤베르크는 교향곡이나 실내악의 한 악장에 ‘가보트’라는 이름을 붙여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정경화 바이올린 연주 고세크의 가보트 감상

 

 

 

장 폴 에지드 마르티니의 가보트

 

반응형